한 달 만에 재확진, 바이러스 유형 달랐다… 백신 개발에 영향

한 달 만에 재확진, 바이러스 유형 달랐다… 백신 개발에 영향

문형봉 2020-09-21 (월) 00:58 3년전
b3de2d3ab74d542a890aae78e489d6e2_1600617465_2759.jpg 

20대 여성,확진 한달만에 또 확진… 조사결과 따라 백신개발에도 영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완치된 후 다시 확진된 재감염 사례가 국내에서도 처음으로 보고됐다. 바이러스 항체의 면역 효과에 대한 새로운 조사 결과가 나올 경우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에도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20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3월 코로나19에 확진됐다가 격리 해제된 후 4월 초 다시 확진된 20대 여성을 국내 재감염 의심사례로 조사하고 있다. 국내에서 재감염 의심사례로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 여성은 두 번의 양성 판정에서 각각 서로 다른 유형(Clade·계통)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세계 최초 재감염 사례로 알려진 홍콩에서도 한 환자가 서로 다른 바이러스에 감염된 바 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확인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형은 S, V, L, G, GH, GR이다.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GH(수도권 집단감염), V(신천지 대구교회), S(유행 초기 해외유입, 우한 교민), GR(부산 감천항 러시아 선박), G(해외입국자) 유형이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를 계기로 코로나19 재감염에 대해 보다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날 “국내 확진자들의 완치 후 재양성 사례에 대해 당시 방역 당국은 죽은 바이러스의 흔적이 발견된 것으로 결론지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재감염인지 재발인지 규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감염 이후 2주에서 길면 4주 사이에 확진자 체내에 항체가 생기는데 이번 사례는 불과 한 달 만에 재양성 반응이 나타났다는 것이 이례적”이라며 “확진자의 1차 감염 때 항체가 아예 생기지 않았거나 항체가 생겼지만 빠르게 소멸됐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재감염 사례로 한 유형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면역 효과가 다른 유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일반화하기에는 섣부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바이러스 유형이 다르다는 것이 혈청형이 다른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이번과 유사한 재감염 사례가 다수 발견될 경우에만 다른 유형 간 재감염이 가능하다고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코로나19 재감염 조사 결과는 향후 코로나19 치료나 예방 연구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최 교수는 “코로나19 감염 후 만들어진 항체의 면역 효과가 떨어지는 사례가 다수 발견된다면 혈장치료제나 백신의 개발도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아직은 바이러스 변이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S 유형 기반으로 개발 중인 백신이 일반적으로 다른 유형까지 막을 수 있다고 보지만 만약 바이러스의 변이가 누적되고 다른 유형 간에 항원 차이가 크게 벌어진다면 백신을 새로 개발해야 할 수 있다”며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항체 유지기간이 짧다고 밝혀진다면 향후 매년 백신을 맞아야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 - 국민일보
 

문형봉 기자
[저작권자 ⓒ 헤드라인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